스마트폰 때문에 생긴 건강 문제 7가지

스마트폰 때문에 생긴 건강 문제 7가지


1. 디지털 격리 증후군
스마트폰으로 소통하는 것이 직접 만나는 것보다 더 편하게 느껴지는 것을 디지털 격리 증후군이라 한다. 직접 만나서 함께 있을 때도 서로 얼굴을 마주하고 이 야기하기보다는 각자 스마트폰만 하기 바쁘다.

2. 팝콘브레인
스마트폰으로 게임이나 동영상을 많이 하면서 빠르 고 강한 것에는 익숙하고 현실 속의 느리고 약한 자 극에는 뇌가 반응하지 않게 되는 것을 팝콘브레인이 라 한다 . 강한 자극에만 뇌가 반응하고 현실에는 주 의력이 떨어지고 무감각해지는 특성을 보인다.

3. 수면장애
스마트폰을 잠자리에서도 계속 보다 보면 뇌를 자극해 수면시간은 줄어들고, 숙면을 하지 못해 수면장애에 시달릴 수 있다 . 스마트폰 등 전자기 기에서 나오는 불빛인 블루라이트는 수면을 유도 하는 호르몬의 분비를 억제하여 수면장애를 자극한다.

4. 시력저하, 안구건조증
스마트폰을 가까운 거리에서 보면 근시가 진행될 수 있으며 , 눈 깜빡임이 적어 안구건조증이 생길 수 있다 . 불을 끄고 어두운 곳에서 스마트폰을 보 면 눈의 피로도가 증가되고, 근시 , 안구건조증 등 이 더욱 악화될 수 있다 .

​5. 거북목 증후군
스마트폰을 오랜 시간 눈높이보다 아래로 내려다보 는 잘못된 자세는 자연스러운 C 자형 커브의 경추를거 북목처럼 변형시킬 수 있다 . 거북목 증후군은 목과 등 근육에 영향을 끼쳐 두통, 어깨통증 , 허리통증 등 을 유발한다.

6. 손목터널 증후군 ( 수근관 증후군 )
손가락이 저리고 통증이 있으며, 감각이 저하되거나 작열감( 타는 듯한 느낌) 이 느껴지는 손목터널 증후 군은 스마트폰을 과도하게 사용해 손목에 무리가 가 고 , 손목 근육을 경직되게 만들고 , 손의 감각과 운동 기능을 담당하는 정중신경에 압력을 가해 각종 신경 증상을 동반한다 .

7. 감정 교감 저하
어린아이가 사람과 소통하지 않고, 스마트폰 등을 너무 많이 보게 되면 다른 사람의 감정을 읽는 능력 이 떨어진다고 미국 UCLA 대학 연구팀이 발표한바 있다 . 또한 , 실험 참가자 중 절반을 스마트폰 , 컴퓨 터 사용 등을 금지하여 자연 속에서 5일 동안 생활하 게 한 결과 공감능력과 타인의 감정을 이해하는 능력 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 관련글

 

뇌를 젊게 하는 생활습관 9가지

<뇌를 젊게 하는 생활습관 9가지> 육체가 건강하더라도 인지기능이 떨어지면 건강수명(건강하게 오래 사는 것)을 위협한다. 급기야 치매까지 걸리면 본인 뿐 아니라 온 가족이 고통

30year.tistory.com

 

의사가 추천하는 다이어트 배달 음식 best 5

의사가 추천하는 다이어트 배달 음식 best 5 재택근무와 영업 제한이 일상이 되면서 집에서 매일 배달 음식으로 연명하는 사람들이 늘었다. 그러면서 살도 늘었다는 사람이 부지기수. 비만 클리

30year.tistory.com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