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쓰기 연습할 때 보면 좋은 팁

글쓰기 연습할 때 보면 좋은 팁

 
글쓰기가 좋은건 알겠는데, 막상 시작하려면 뭐 부터 해야할지 모르시는 분들 많으시죠?
그래서 제가 오랜만에 꿀팁을 갖고 왔어요. 이 방법만 있으면 일단 첫 시작을 해낼 수 있습니다. 시작이 반인거 다들 아시잖아요. 글쓰기 물꼬를 제가 확실하게 틔워드릴게요.

바로 글쓰기 전에 근거부터 찾으면 됩니다.
보통은 글쓰기 직전에 무슨 내용을 쓸지 대충 정하고 들어가잖아요.
예를 들어 '매일 노래를 꼭 듣는것이 좋다' 라고 주장하고 싶다고 해봅시다.

근데 뭐라고 시작 해야할지 전혀 감이 안온다면...?
덮어두고 근거부터 찾으면 돼요.

1. 일단 네이버나 구글에 들어갑니다.
2. 검색창에 내가 원하는 키워드를 써봅니다.
3. 뉴스 탭으로 들어가서 근거를 찾습니다.

이게 전부임.

예를 들어 저는 '노래 1시간 감상' 이라고 쳤더니 웬 거리두기 기사만 나오네요.
그래서 키워드가 잘못됐구나 싶어서 '음악감상 1시간 필수' 라고 쳤더니 기사가 하나 나왔음.

이 구절을 활용해서 근거로 삼으면 되겠죠.

"스트레스가 심하면 교감신경에 영향을 줘 혈압이 오르고 살이 찔 수 있다. 따라서 나만의 스트레스 해소법을 찾는 것이 매우 중요한데, 음악감상이 아주 좋은 예가 될 수 있다"

​그럼 백지에서 시작하는 것보다 훨씬 수월하게 글을 시작할 수 있어요. 근거부터 대도 되고, 아니면 다른 얘기 하다가 근거를 대도 되고, 마지막에 대도 되고. 다양하게 활용 가능하죠. 근거만 적당하면 글 안에 여러가지로 끼워맞출 수 있어요.

많은 분들께서 글쓰기는 흐름이라고 생각하시는데, 사실 그것도 맞는 말이지만 근거도 상당히 중요합니다. 근거만 완벽하면 흐름이 없어도 글이 탄탄해져요. 반대로 흐름만 좋으면 맥아리 없는 글이 되고요. 저는 근거가 부족한 사람이라 항상 경험으로 근거를 보충하는 편이지만, 필요할 땐 근거를 꼭 찾아옵니다.

하나만 더 해볼게요.
만약 글쓰기의 중요성을 어필하고 싶다면?
'글쓰기 필수' 라고 쳤더니 이런 뉴스가 하나 나왔네요.

기사 안에 여러 좋은 구절들이 있습니다. 딱 두 부분만 갖고 온 거예요. 그럼 이걸 활용해서...

"국내 최고의 대학이라 불리는 서울대도 신입생을 대상으로 글쓰기 평가를 시작했다. 학생들의 글쓰기 실력이 저조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라는 구절을 만들 수 있죠. 여기서부터 떠오르는 생각들을 글로써 만들어나가시면 됩니다.

​서울대조차 글쓰기를 연습하도록 시키는데 일반인이 안 하면 되겠냐 말해도 되고, 맨 밑에 MZ세대가 활자에 약하다는걸 이유로 경쟁력을 갖기 위해 연습해야 된다고 말해도 돼요. 어떻게 활용하는건 본인 마음이에요. 좋은 재료만 찾으면 볶아먹고 데쳐먹고 구워먹고 쪄먹고 마음대로 가능함.

이렇게 근거만 찾으셔도 시작하는데 어려움이 많이 줄어드실겁니다.

근데 사실 가장 중요한건 뭘 얘기할지를 명확하게 정하는거예요. 주장이 확실하면 좋은 근거가 나오고, 좋은 근거는 결국 좋은 글을 만들거든요. 그러기 위해서는 평소에도 생각을 여러가지로 정리할 수 있어야 하죠.

주장이 명확한데도 글쓰기가 어렵다? 그럼 방금 알려드린 근거부터 찾는 방법을 사용해보세요. 일단 물꼬가 터지면 주장이 술술 나올겁니다. 제가 예전에 연습할때 많이 썼던 방법이니까 효과는 보장합니다.

 

* 관련글

 

아주 쉽게 글쓰는 4가지 방법

아주 쉽게 글쓰는 4가지 비법 "잘 쓴글과 못 쓴 글은 이것이 다르다?" 일기, 블로그, 자기소개서, 업무 보고서 등 매일매일 글을 써도, 써놓은 문장을 찬찬히 들여다보면 많은 문

30year.tistory.com

 

긍정적인 생각을 훈련하라

긍정적인 생각을 훈련하라 어릴 때부터 명석한 두뇌로 많은 이들의 기대를 한 몸에 받았던 청년이 있었습니다. 그러던 그에게 불의의 사고가 찾아왔습니다. 아버지와 함께 나간 

30year.tistory.com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