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몸 관절의 기능적 안정화 운동방법!

우리몸은 각 관절별로 기능적 ( 가동성 , 안정화 )인 운동이 필요합니다.

 

발목 가동성 밴드운동

발목의 경우 안정성보다는 가동성이 필요한 관절입니다.
​쪼그려 앉기가 안되는 분들 , 풀스쿼트가 안되는 분들이 대표적인 경우입니다.

밴드를 이용한 발목 가동성 늘리기

 

무릎 안정화 운동

무릎의 경우 가동성보다는 안정성이 필요한 관절입니다.
​무릎을 쫙 펴지 못하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반대로 무릎 통증을 호소하는 분들은 많으시죠.
​대표적인 슬개대퇴통증증후군 ( PFPS ) 
​다른 관절에 비해 안정화를 위한 속근육이 없기도 합니다.

 

한다리로 서서 반대편 다리로 정면 대각선 측면 후면으로 터치를 하는 동작입니다.  
​한다리 스쿼트 최대한 천천히 하세요.

밴치를 이용한 한다리 스쿼트

 

 

고관절 가동성 운동

​고관절의 경우 가동성이 필요한 관절입니다.
​고관절이 어깨처럼 빠지는 경우는 없다고 할수 있을 정도로 아주 안정적입니다.
반대로 고관절이 뻣뻣하고 충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코어 안정성 플랭크 운동

요추의 경우 다들 잘 아시겠지만 안정성이 필요한 관절입니다.
​대표적인 코어 운동인 정적 안정성을 위한 플랭크부터 

동적 안정성을 위한 변형된 플랭크까지... 

코어강화 운동 플랭크

 

흉추 가동성 운동

흉추의 경우 가동성이 필요한 관절입니다.
​흉추에서는 굽힘과 젖힘 , 회전 움직임이 나타납니다.
​굽은 등의 경우 흉추의 움직임이 제한이 생기고 
​부족한 가동범위를 요추에서 보상받게 됩니다.
​문제는 요추의 경우 후관절의 생김새로 인해 약 5도의 회전만이 나타나게 됩니다.
​흉추의 가동성이 부족할 경우 결국 요추에서 과한 회전 움직임 보상으로 인해 불안정해질수 있습니다.

 

어깨 안정성 케틀벨 운동

마지막으로 어깨 관절의 경우 인체에서 가장 자유도가 큰 관절이기에 가동성보다는 안정성이 중요합니다.

관절의 생김새도 오목한 부분에 볼록한 부분이 쏙 들어가야 안정적이지만 반대로 볼록한 부분이 더 크기에
​불안정할수 밖에 없습니다. 

케틀벨 스윙 운동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