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정 유지가 습관에 중요한 이유

감정 유지가 습관에 중요한 이유

좋은 습관 만들려고 하시는 분들 생각보다 많으시죠? 저도 그런데요. 저는 예전에 댓글로 습미넌트라는 말을 들을 정도로 습관에 빠져서 노력했던 적이 있어요. 근데 10개를 노리면 계속 유지하는건 1-2개도 안되더군요. 그것도 매일 하기는 힘들었고요. 참나. 성공률이 10%라니... 그래도 10% 나마 계속 유지하는 비법이 있긴 한 것 같습니다.

​습관 책에서 봤는데요. 습관을 감정과 연관시키면 된대요.

​다들 아시겠지만 감정이 무너지면 습관 유지를 못합니다. 정말 슬플 때는 이불도 못 개잖아요. 반대로 너무너무 행복해도 습관을 지키기가 어렵습니다. 하루 정도 빼먹어도 기분 좋거든요. 그러므로 감정을 평온한 상태로 오래 유지하는것이 필요하다는 결론에 이르게 돼요. 너무 행복할 필요도, 너무 슬퍼할 필요도 없이 보통의 감정을 오랫동안 유지하는게 습관 만드는데 가장 최적화된 상태라 할 수 있겠죠.

여기서 말하는 보통의 감정은 그냥 무감정이 아니에요. '익숙한' 감정이죠. 예를 들어 내가 점점 습관이 많아지면서 건강한 정신이 깃들었다면, 매일매일 그런 건강한 마음을 느끼게 되겠죠? 그럼 그게 보통의 감정이 되는거예요. 반대로 요즘 일이 잘 안되고 슬퍼서 마음이 가라앉았다면, 그래서 매일 약간 다운된 마음을 느끼고 있다면, 그 사람에게는 그게 보통의 감정이고요. 그러니까 사람마다 보통의 감정 상태는 달라요. 중요한건 그 보통의 감정에서 너무 큰 진폭을 느끼지 않는거예요. 갑자기 행복했다가, 갑자기 슬퍼졌거나 하면 감정이 뒤죽박죽이라 습관 같이 꾸준해야 하는 행동을 지속할 수 없거든요.

​그러니 일단 평온한 마음을 가지는게 습관 유지에 가장 중요한 것 같아요. (별 5개 매우 중요)
​하지만 때로는 내 기분이 괜찮았음에도 습관을 유지 못해서 감정이 떨어지기도 합니다. 아침에 일찍 못 일어나고, 점심 밥을 생각보다 많이 먹고, 귀찮아서 빈둥대고, 그러다 밤 되면 자고. 이러면 나도 모르게 감정이 많이 다운되겠죠.

​제가 어느 칼럼에서 읽은건데요. 한 습관과 다른 습관을 연결시키면 감정을 무너트리지 않을 수 있다고 해요. 예를 들어 아침에 일찍 일어나기, 이불 개기, 설거지 하기, 산책 하기, 샤워 하기를 세트로 묶는 거예요. 그럼 아침에 일찍 못 일어났어도, 느즈막히 일어나 이불을 개고, 설거지를 한 다음, 산책을 다녀왔다가 샤워를 할 수 있잖아요. 그러면 하루에 80%의 부지런함을 보인 거죠. 꽤 괜찮은 수치예요. 만약 산책까지 안했어도 60%는 하는거고요.

근데 이 모든 습관을 각각의 파트로 나눠버리면, 나는 4가지를 성공했음에도 1가지를 달성 못한 사람으로 느껴져서 감정이 나빠지는거죠. 그럼 다음날 그걸 다시 하고 싶지 않게 되고요. 잘 아시잖아요. 인간은 매일 반복하지 않으면 실패라고 느낀다는거. 그래서 부지런함을 숫자로 계산해버리는거예요. 그럼 나는 꽤 괜찮은 사람처럼 느껴지니까 다음날에도 습관을 유지할 의지가 생기게 되죠.

​저는 점선 개념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점은 이어진 것 같지 않지만, 점이 반복되면 점선이 되거든요. 그래서 하루 못하면 그냥 다음날 다시 점 찍고 합니다. 3일 하고 바로 점 찍으면 선으로 안 보이겠지만, 최소 한달 정도 하다가 점 찍으면 연속성이 있어서 크게 부담이 없더라고요.

부지런함을 숫자로 계산하든 점선이라고 느끼든 상관 없는 것 같습니다. 중요한건 감정 상태 같아요. 크게 튀지 않으면서 어제와 비슷한 감정을 유지하는 것, 습관 유지를 쉽게 만들어주는 핵심이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관련글

 

보톡스를 맞은 사람들이 더 행복한 심리학적 이유

보톡스를 맞은 사람들이 더 행복한 심리학적 이유 Q. 정말 우울증 완화에 효과가 있을까? 보툴리눔 톡신의 우울증 개선 효과는 미국 피부외과 학술지에 게재된 ‘보툴리눔 톡신 

30year.tistory.com

 

이런 사람에겐 절대 '약한 모습' 보이면 안된다

<이런 사람에겐 절대 '약한 모습' 보이면 안된다> 처음에 잘못 보이면 계속 당하게 됩니다. 특히 이런 사람에게 약한 모습을 보이면 더 달려듭니다. ​ 상대를 잘못 길들이면 나만 고

30year.tistory.com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